[엠디저널] 급변하는 시대 속에서 병원 홍보의 방식 또한 근본적인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과거에는 막대한 비용을 들여 대중매체에 광고를 집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크고 화려한 광고판과 반복적인 TV 광고는 잠재 환자들에게 병원의 존재를 알리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었지만 이제는 다양한 광고매체 속에서 단순히 '알리는' 것을 넘어 '끌어들이는' 홍보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과잉 광고에서 신뢰 기반 콘텐츠 전략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병원 홍보의 핵심은 '노출 빈도'였다. 누가 더 많은 광고를 하고, 누가 더 좋은 자리에 광고판을 거느냐가 경쟁의 주요 척도였다. 많은 돈을 들여 유명 연예인을 모델로 기용하고, 주요 언론사에 전면 광고를 싣는 것이 당연한 흐름이었던 때도 있었다. 이러한 방식은 단기적으로 병원의 인지도를 높이는 데 일정 부분 이바지했을 것이다.그러나 이러한 광고 위주의 홍보는 몇 가지 치명적인 한계를 안고 있다. 첫째, 비용 대비 효율성이 점차 떨어지고 있다. 이제 소비자들은 광고에 쉽게 현혹되지 않는다. 넘쳐나는 정보 속에서 광고는 빠르게 피로감을 유발하고, 오히려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줄 수도 있는 것이다. 둘째, 일방적인 정보 전달 방식이라는
'당뇨병 전단계'는 쉽게 말해, 정상도 아니고 당뇨병도 아닌 상태로, 당뇨병으로 가는 길에 서 있다고 보면 됩니다. 이를 수치로 정확하게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정상인의 경우 당화혈색소는 5.7% 미만, 혈당은 8시간 이상 공복 후 혈장포도당 100 mg/dL 미만, 75g 경구포도당부하 2시간 후 혈장포도당 140 mg/dL 미만입니다. 당뇨병 전단계 관리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비만한 고위험군은 초기 체중에서 5~10% 체중감소를 목표로 적어도 일주일에 150분 이상 중등도의 유산소 운동과 식사요법을 권고합니다.당뇨병 진단을 위한 선별검사를 적어도 매년 받아서 당뇨병을 조기 발견하도록 합니다.혈당을 급격하게 올리는 국물, 주스 등의 음식은 피하고, 과일은 씹어먹는 것이 좋습니다.일상 생활에서 활동량을 늘리고, 가급적 운동을 합니다. 운동은 식후 30분∼1시간 정도 집중적으로 하며, 유산소운동과 근력운동 모두 좋습니다.50분 앉아 있다면 10분은 반드시 일어나서 움직입니다.40세 이후에는 정기적으로 혈당을 측정합니다.
당뇨병의 운동요볍
당뇨병이란 무엇일 까요? 반드시 알아야 할 당뇨인의 팀!
1. 당뇨병의 분류 I. 제1형 당뇨병 제1A형 : 면역 매개성 제1B형 : 특발성II. 제2형 당뇨병III. 기타 형 당뇨병 A. 돌연변이로 인한 베타세포 기능의 유전적 결함 : MODY 1, MODY 2, MODY 3 등 B. 인슐린 작용의 유전적 결함 C. 췌장 외분비 기관 질환 : 췌장염, 췌장절제, 종양 등 D. 내분비병증: 말단비대증, 쿠싱 증후군, 글루카곤종, 갈색세포종, 갑상선 항진증, 알도스테론 분종등 E. 약제: vacor, pentamidine, nicotinic acid, glucocorticoids, thyroid hormone, diazoxide, B-adrenergic agonists dilantin, a-interferon, clozapine, B-blockers 등 F. 감염 : Congenital rubella, Cytomegalovirus, Coxsackie virus 등 G. 드문 형태의 면역 매개성 당뇨병 : Stiff-man syndrome, anti-insulin receptor antibodies H. 당뇨병과 동반될 수 있는 유전 질환 : 다운 증후군, 클라인펠터 증후군, 터너 증후군 등 IV. 임신성 당뇨병
당뇨병, 습관을 바꾸면 극복할 수 있다 당뇨병 환자의 발 관리 당뇨병성 족부질환과 궤양이 생기면 많은 신체적, 정신적 고통이 따르고 치료를 위한 부담도 만만치 않다. 따라서 당뇨발로 인한 고통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질환을 미리 예방하는 것이다. 당뇨병 족부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는 철저한 혈당조절이 절대적으로 중요하지만, 환자 및 보호자가 환자의 발 상태에 대해 스스로 확인하고 의료진이 규칙적으로 검진을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당뇨발을 예방하는데 있어 왕도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알고, 아끼고, 관리하는 것이 최선이다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것이 중요 원이나 보건소에서 운영하는 ‘당뇨병 교실’과 같은 여러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집단교육에서 당뇨발은 빼 놓지 않고 등장하는 주제 중의 하나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잘 활용하면 당뇨발의 예방이나, 관리법에 대해 심도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어 당뇨병성 족부질환의 예방에 매우 중요하다.환자들 또한 평소 환자들이 자신의 발을 관리하는 방법, 발견할 수 있는 이상소견, 주의사항 등에 대하여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열심히 교육을 쫓아다니긴 했지만 다 아는
당뇨발이란 당뇨병성 족부병증(Diabetic Foot Disease)의 줄임말로 발에 생기는 모든 문제를 의미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연간 약 10만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하며, 이 중 1~3%인 2천~4천명이 절단 수술을 받고 있는데요. 하지만 최근 대한당뇨병학회 조사 결과 국내 당뇨병 환자 4명 중 1명이 자신의 발 상태를 모르고 있으며, 치료율 또한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특히 여름 휴가철 이후 발의 노출이 많은 시기라 더욱 주의가 필요한데요.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은 상태를 방치할수록 더욱 악화하고 마치 내 발이 아닌 것처럼 감각이 둔해지기도 하며 괴사, 궤양 등으로 발전할 우려가 있기에 초기 치료를 당부드리고 있습니다. 당뇨발 증상은 어떤가요?당뇨발 초기에는 통증이 거의 없어 방치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감각이 둔해져 상처가 생겨도 모른 채 방치하게 되고 결국 궤양으로 진행됩니다. 발이 시리고 저리며 화끈거리는 느낌 발바닥이 빨갛게 변하거나 붓는다 발등 발가락에 염증이 생기고 고름이 찬다 발뒤꿈치가 까맣게 변하고 갈라지는 증상 위와 같은 증상이 발생한다면 즉시 마장동내과 전문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당뇨병이란 혈액중의 포도당(혈당)이 높아서 소변으로 포도당이 넘쳐 나오는데서 지어진 이름입니다. 포도당은 우리가 먹는 음식물 중 탄수화물의 기본 구성성분입니다. 탄수화물은 위장에서 소화효소에 의해 포도당으로 변한 다음 혈액으로 흡수됩니다. 흡수된 포도당이 우리 몸의 세포들에서 이용되기 위해서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인슐린은 췌장 랑게르한스섬에서 분비되어 식사 후 올라간 혈당을 낮추는 기능을 합니다. 만약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인슐린이 모자라거나 성능이 떨어지게 되면, 체내에 흡수된 포도당은 이용되지 못하고 혈액 속에 쌓여 소변으로 넘쳐 나오게 되며, 이런 병적인 상태를 '당뇨병' 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최근 들어 사회 경제적인 발전으로 과식, 운동부족, 스트레스 증가 등으로 인하여 당뇨병 인구가 늘고 있습니다. 2010년 통계를 보면 우리나라의 전체 인구 중 350만명 정도가 당뇨병환자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이중의 반 이상은 아직 자신이 당뇨병환자임을 모르고 지냅니다. 당뇨병학회 기준 자료 당뇨 증상 혈당이 높아지면 소변으로 당이 빠져나가게 되는데, 이때 포도당이 다량의 물을 끌고 나가기 때문에 소변을 많이 보게 됩니
운동은 혈당을 낮추어 주고 체중을 감소시켜 주며 혈액 순환을 촉진하여 각종 합병증을 예방해 줍니다. 또한 귀하께서 효과적으로 운동을 하실 경우 운동 전 보다 당뇨약 사용량을 5~10% 줄일 수 있습니다. 운동은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를 해소하여 생활의 활력과 자신감을 심어 줄 것 입니다. 1) 어떤 운동을 할까요? 걷기, 달리기, 등산, 수영, 자전거타기, 에어로빅 등의 유산소성 운동, 즉 산소를 끊임없이 사용하는 운동이 좋습니다. 귀하께서 적절한 운동 종류에 대해서는 주치의 와 상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언제 운동하는것이 좋을까요? 1) 식사후 30분에서 3시간 사이가 좋습니다. 2) 공복시 또는 식전 운동은 피하도록 합니다. 3) 인슐린을 사용하고 있다면 운동에 의한 저혈당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슐린의 감량을 고려하여야 하며, 인슐린 주사 후 60~90분 이내에는 운동을 피하는것이 좋습니다. 4) 운동 전후로 자가혈당측정을 시행하여 운동으로 인한 혈당 변화를 스스로 확인 하도록 합니다.
당뇨병이 생기는 것도 과식이나 비만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생각되어 식사요법은 치료의 기본 중의 기본으롤 되어 있다. 그러나 당뇨병 환자 가운데 비만인 사람은 흔히 생각하는 것만큼 많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일률적으로 식사제한을 하라고 하는 것일까. 이것은 미국의학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그렇게 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일본 의학은 치료나 진단기준에 관해서 그 대부분을 미국 의학의 데이터에 근거를 두고 있다. 열심히 연구하는 전문가일수록 미국의 의학논문을 꼼꼼히 챙겨 읽고 그것을 임상에 반영시키려 한다. 결과적으로 일본인에게 맞지 않는 치료법이나 진단 기준이 만들어지고 만다. 일본인과 미국인은 체격 한 가지만 보아도 큰 차이가 있다. 비만을 판정하는 기준이 BMI(체격지수=체중<kg>을 신장<m>으로 2회 나누어 산출)로 말한다면, 일본에서는 '25' 가 비만이지만, 미국인은 '30' 이 비만이다. 신장 160cm인 사람을 대상으로 비교해 보면, 일본인은 64kg, 미국인은 대강 77kg이 비만이라고 판정된다. 이처럼 느슨한 기준으로도 성인 3명 가운데 1명이 비만이다. 일본인과 비만의 차원이 완전히 다른 것이다. 미국인 당뇨병 환자
식이 섬유가 들어 있는 자연식으로 혈중 지방치를 억제한다. 눈 속의 수정체는 건강한 상태에서는 투명 하지만 건강을 잃거나 노화로 인해 그 투명도가 저하되면 시력에 장애가 일어난다. 특히 당뇨병과 혈중 지방치의 과잉은 이 병의 직접적인 위험요인이 되고 있으며 이 질병을 앓는 환자의 절반이 고령이다. 한 통계에 의하면 70세 이상의 80%, 90세 이상은 100%가 백내장에 걸린다고 한다. 하지만 요즘에는 젏은층에서도 늘어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와 있으므로 특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백내장의 원인이 되는 혈중 지방의 과잉은 식사와 관련되어 있으므로 식생활을 바구는것으로 당뇨병과 백내장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주로 당뇨병의 합병증으로 잘 나타나는 백내장은 수정체에 있는 알도스 환원효소라고 하는 물질의 활성이 지나치게 놀아지는 것에 원인이 있다고 한다. 따라서 혈중에 당분이 증가 하면 증상이 촉진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알도스 환원효소는 혈액에서 당분을 빼내어 그것을 복잡한 분자로 합치게 하는 작용을 하며 이 분자가 지나치게 많이 만들어지면 백내장이 진행되는것이다. 따라서 알도스 환원효소의 작용을 억제하는 바이오 후라보이드라는 비타민의 한 종류를 환자에게 투
서촌 당뇨학교 박미산 시인이 운영하는 백석, 흰당나귀에서 가을을 맞이하여 나와 내가족의 건강한 삶을 위한 건강 프로그램인 서촌 당뇨학교를 당뇨병의 명의 유형준 박사의 초청강연을 준비하였다. 장소가 한정되어 선착순으로 진행할 것이라 하였다. 일시:2025년10월24일 금요일오후 6시 장소: 광화문서촌 백석, 흰당나귀 참가비: 2만원 선착순 25명 석식제공, 당뇨관련 엔도저널 제공, 음료 입금처: 하나은행:391-910176-04305 박명옥 주 소: 서울 종로구 필운대로 29, 2층 백석, 흰 당나귀 전화번호:02-738-0701 주최: 백석흰당나귀, 당뇨신문, 엔도그룹(엔도저널) * 오후 6시~6시30분–--무료혈당검사 진행
일본 NTT 도쿄 의료센터 연구팀, 1만 9000여명 분석 커피를 즐겨 마실수록 내장비만 위험이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일본에서 나왔다. 미국의 건강 전문매체 ‘이팅웰(EatingWell)은 이 논문을 근거로 “영양 전문가가 추천하는 내장지방 줄이는 최고의 음료는? ‘커피”라는 제목의 기사를 최근 보도했다. 18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일본 NTT 도쿄 의료센터 하야시 요시노리 박사팀은 2015-2018년 도쿄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1만 9253명을 대상으로 커피와 내장지방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커피 섭취와 내장지방 비만의 상관관계: 단면 연구’는 국제학술지 ‘비만’(Obesities) 최근호에 실렸다. 연구팀은 컴퓨터 단층촬영(CT)으로 측정한 연구 대상자의 내장지방 면적(Visceral Fat Area, VFA)과 일일 커피 섭취량, 생활습관, 질병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이 결과, 커피를 하루 1-2잔 마시는 사람은 커피를 전혀 마시지 않는 사람보다 내장지방 비만(VO, VFA ≥ 100㎠) 확률이 25% 낮았다. 매일 커피를 3-4잔 마시는 사람은 33%, 5잔 이상 마시는 사람은 35% 내장지방 비
인제대 해운대백병원·부산백병원 공동 연구, 국제 학술지 Healthcare 게재 나이가 들면 누구나 근육량이 줄어들지만 그로 인해 낙상·생활기능 저하·사망률 증가까지 이어질 정도로 심각해진 상태를 ‘근감소증’이라고 한다. 근감소증은 단순한 노화가 아니라 치료와 관리가 필요한 질환으로 주목받고 있다. 근육감소증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단백질 섭취 저하: 필수 아미노산의 섭취 부족이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운동량 부족: 신체 활동이 부족하면 근육량이 감소할 수 있다. 호르몬 불균형: 근육 세포 성장 신호와 분해 신호 간의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다. 노화: 나이가 들면서 근육 조직의 양과 질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원인들은 개인마다 다를 수 있으며, 근육 감소증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적절한 영양 섭취와 운동이 중요하다.인제대 해운대백병원 신경과 박강민 교수와 부산백병원 가정의학과 김진승 교수팀은 뇌 MRI 영상을 활용한 ‘측두근 두께(Temporal Muscle Thickness, TMT)’가 근감소증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또한, 연구팀이 개발한 근감소증 진단기기 ‘올근(Allgeun)’의 유용성도 입증
충남대·생명연 공동 연구팀, 국제 학술지 논문 게재 비타민 D가 만성 간질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담관 반응을 감소시켜 간경변증으로의 진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충남대는 수의대 권효정 교수와 의대 은혁수 교수·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영석 박사 공동 연구팀이 이런 사실을 새롭게 규명했다고 19일 밝혔다. 비타민 D는 칼슘 흡수 촉진, 뼈 형성과 유지를 돕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에는 만성 간질환 환자들의 혈중 내 비타민 D 수치가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면서 비타민 D 결핍이 간질환 발생 위험을 높인다는 것이 밝혀졌다. 하지만 그 효과와 작용 구조가 정확하게 확인되지 않았다. 공동 연구팀은 혈중 비타민 D 농도와 만성 간질환 발생 위험을 비교 분석한 결과, 혈중 비타민 D가 낮은 환자군에서 간질환 발생을 악화시키는 담관 반응이 더 증가해 만성 간질환 및 간경변증 진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밝혀냈다. 또 비타민 D가 산화스트레스를 조절하는 'TXNIP'라는 유전자를 통해 담관 반응을 억제하고 만성 간질환 및 간경변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새롭게 규명했다. 권효정 교수는 "국내 만성 간질환 및 간경변증 환자는 꾸준히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