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동두천 0.8℃
  • 흐림강릉 3.7℃
  • 맑음서울 1.1℃
  • 맑음대전 4.6℃
  • 구름조금대구 3.8℃
  • 맑음울산 4.2℃
  • 맑음광주 4.2℃
  • 맑음부산 4.7℃
  • 맑음고창 5.4℃
  • 구름조금제주 8.5℃
  • 구름많음강화 1.1℃
  • 맑음보은 1.3℃
  • 맑음금산 4.2℃
  • 맑음강진군 5.8℃
  • 맑음경주시 4.2℃
  • 맑음거제 4.1℃
기상청 제공
메뉴 회원가입
닫기

대한뇌졸중학회는 "급성 뇌졸중 인증의를 기반으로 급성 뇌졸중 진료체계를 정비

대한뇌졸중학회, 국제학술대회 정책세션서 ‘인증의제도’ 운영

급성기 뇌졸중을 전문적으로 진료토록 신경과 전문의에게 자격을 주는 ‘인증의’가 본격화되고 있지만 ‘의료대란’ 상황에서 제대로 운영될 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

최근 이른바 ‘조용한 사직’이 많았는데 (특별한 조치가 없는한) 내년엔 올해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많은 교수들이 사직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허성혁 경희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지난달 29일 열린 ‘2024 대한뇌졸중학회 국제학술대회(ICSU 2024)' 정책 세션에서 “급성 뇌졸중 인증의‘ 제도 시행에 들어 갔지만 최근의 의료환경은 뇌졸중 치료 시스템의 기반을 무너트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고상배 대한신경과학회 정책이사(서울대병원 신경과)는 "급성 뇌졸중 인증의 자격검토 과정에서 뇌졸중 전공 여부, 급성 뇌졸중 환자의 진료 경험, 뇌졸중학회 혹은 신경과학회에서의 교육과 활동 등을 포함해 뇌졸중과 관련된 진료, 연구, 교육에 모두 적극적으로 참여한 사람들이 인증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대한뇌졸중학회는 도입된 급성 뇌졸중 인증의 심사는 지난 9월 2일부터 약 1개월간 신청과 2차 심사과정을 거친 결과, 505명의 신경과 전문의가 급성 뇌졸중 인증의로 인증받았다.

학회는 뇌졸중 전공 여부, 급성기 뇌졸중 진료 경험, 학회 교육 등에 대한 참여도 등을 감안해 기준을 정했다. 제도 도입 초기인 만큼 계속해 공정한 심사가 이뤄질 수 있도록 보완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우선 급성 뇌졸중 인증의가 일부 지역에 편중돼 있다는 점이다. 급성 뇌졸중 인증의 505명 중 서울에 161명, 경기에 103명이 근무하고 있다. 지역별 불균형이 심각하다는 얘기다. 광주, 전남 지역 병원에 소속된 급성 뇌졸중 인증의는 37명, 강원 지역의 경우 14명에 그쳤다.

강원 지역에는 원로의사 많은데 당직을 설 때 문제가 생긴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의도적으로 인증의 따지 않는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유연한 접근과 협조가 있도록 보완이 필요하다는 제안도 나왔다.

현재 인증의는 수월하게 평가를 할 수 있었으나 요양병원의 의사들은 급성뇌졸중 환자 보지 않는데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과제도 남아있다.

이경복 대한뇌졸중학회 정책이사(순천향대서울병원 신경과)는 “급성 뇌졸중은 첫 병원에서 제대로 치료가 이뤄지지 않으면 병원간 이송에 상당한 시간이 걸려 골든타임을 놓친다”면서, “지역응급센터 가운데 거점 뇌졸중센터를 지정하고, 119 급성 뇌졸중 환자 이송지침을 ’지역응급센터‘에서 ’뇌졸중센터‘로 변경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전공의를 늘려도 뇌졸중을 전문하고 취역지역에 근무하게 하려면 필수과 수련 지원 외에도 많은 유도 정책이 필요하다.

이날 정책세션은 “전공의를 늘려도 뇌졸중을 전문으로 하면서 취역지역에 근무하게 하려면 필수과 수련 지원 외에도 많은 유도 정책들을 도입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김경문 대한뇌졸중학회 이사장(삼성서울병원 신경과)은 "급성 뇌졸중 인증의를 기반으로 뇌졸중 치료 시스템을 구축하고, 여러 네트워크 사업을 성공적으로 운영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학회는 지속적인 급성 뇌졸중 인증의 확보를 진행해서 우리나라 뇌졸중 네트워크가 구축돼 유지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국제학술대회에는 한국을 비롯해 미국, 캐나다, 대만, 일본, 싱가포르, 이탈리아 등 22개국에서 약 700여 명이 참가했다.





뉴스

더보기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