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전립선학회장 홍성규 교수(분당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비뇨의학과 홍성규 교수가 대한전립선학회(The Korean Prostate Society, KPS) 회장으로 취임했다. 임기는 2023년 3월 4일부터 2년 간이다. 1997년 창립된 대한전립선학회는 전립선암, 전립선비대증, 전립선염 등으로 대표되는 전립선 질환과 전립선에서 비롯된 모든 제반 질환에 대한 치료법 발전을 위해 다양한 학술 활동과 국제교류, 가이드라인 제정 등의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시엘병원, 외국인환자 유치 공로 대통령 표창 시엘병원(병원장 최범채)은 최근 ‘제13회 글로벌 헬스케이& 의료관광 컨퍼런스 유공 포상 시상식’에서 외국인환자 유치 활성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당뇨병 남성’ 결핵 더 조심해야 하는 이유 보건의료硏 연구결과 “완치 후 재발률 높아” 당뇨병이 있는 남성은 결핵 완치 후 재발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밝혀져서 예방 활동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당뇨병을 동반한 남성 결핵 환자는 재발 가능성이 약 1.4%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최근 밝혔다. 이 연구는 국제감염병학회 학술지인 ‘국제감염질환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 최신호에 발표됐다. 보건의료연구원에 따르면 결핵과 당뇨병이 동반된 유병에 관한 기존 연구는 당뇨병에 따른 결핵 발생과 사망 등 부정적 치료 결과의 크기 확인에 집중됐다. 특히 대부분 소규모 인구집단으로 진행돼서 치료 완료 후 장기적 건강 영향을 밝히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한국의 결핵 질병 부담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하지만 2021년 추정 결핵 발생률은 10만 명당 44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높게 유지 중이다. 2021년 세계 결핵 발생 환자 수는 약 1000만 명이고, 사망자는 160만 명으로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결핵 발생의 기여 위험 요인 중 당뇨병은 △
소중한 아기에게 찾아온 ‘선천성 심장병’ 조기 치료 돕는 ABC 소중한 아기에게 찾아온 ‘선천성 심장병’ 조기 치료 돕는 ABC ▶ ※ 태아의 생명 시작 알리는 ‘심장’ 박동 -임신 3~8주에 심실‧심방 등 심장 구조 형성 -태아 심장이 신체 순환 역할 수행하기 시작 ▶ ※ 우리 아기의 ‘선천성 심장병’ -심장 형성 시기에 구조적인 이상 & 결손 있는 상태 * 발생 특징 -태아~성인기까지 다양한 연령서 확인 -대부분 태아기 & 영‧유아기 때 진단 -출생아 1000명 중 8~10명에서 발생 ▶ ※ ‘선천성 심장병’ 진료 환자 10년 새 65% 증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 -2021년 3만4019명 -2022년 5만6251명 ▶ ※ 선천성 심장병 주요 종류 ① 심실 중격 결손증 -심실 사이 벽이 막히지 않고 결손된 상태 -선천성 심장병 출생아 중 30~35% 차지 ② 심방 중격 결손증 -심방 사이 벽이 막히지 않아 결손된 상태 -선천성 심장병 출생아 중 8~10% 차지 [Check!] 선천성 심장병 ‘확인 가능한 시기’ -임신 20~24주의 심장 구조 이상은 초음파로 확인 -출생 후 폐호흡 시작한 후 진료 시 확인되기도 해 ▶ ※ ‘선천성 심장
치아 빠지고 당뇨병 심해진다는 신호 무시했군요! 전신 건강 문제 단초 ‘치주질환’ 심각성 우리나라에서 감기보다 흔하게 병원을 찾는 질환은 무엇일까요? 바로 잇몸병으로 알려진 ’치주질환‘입니다. 치주질환은 2019년부터 3년 연속 외래 다빈도 질환 1위를 차지한 ’국민병‘입니다. 하지만 대부분 서서히 악화하는 치주질환 치료의 중요성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합니다. 치주질환은 치아를 뽑게 되는 가장 중요한 원인이어서 관리가 중요합니다. 그럼 치주 질환에 걸리면 단순히 잇몸이 불편하고 치아 발치에 그칠까요? 심혈관 질환을 비롯해서 다양한 전신질환에 영향을 미치고, 또 다른 국민병인 당뇨병과도 깊은 관련이 있어서 ’제6의 당뇨병 합병증‘으로도 불립니다. 이처럼 치주질환을 방치하면 건강 문제가 도미노처럼 찾아오기 때문에 평소 관심을 갖고 관리해야 합니다. 3월 24일 ‘잇몸의 날’의 맞아서 치주질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외래 다빈도질병 1위 ‘치주질환’은 이런 병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질병으로 의료기관을 찾습니다. 그 중에서도 잇몸에 문제가 생긴 ‘치주질환’은 외래를 가장 많이 찾는 병입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21년 다빈도질병 통계에 따르면 치주질환과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Semaglutide와 심혈관계 예후 Semaglutide and Cardiovascular Outcome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arso SP, et al. N Engl J Med. 2016. BACKGROUND 규제 지침에서는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과도한 심혈관계 위험을 배제시키기 위해서 새로운 당뇨병 치료의 심혈관계 안전성을 확립할 필요성을 명시하고 있다. 제2형 당뇨병에서 GLP-1 analogue, semaglutide의 심혈관계 효과는 알려져 있지 않다. METHODS 제2형 당뇨병 환자 3,297명을 무작위로 배정하여 104주 동안 주 1회 semaglutide (0.5 mg 또는 1.0 mg) 또는 위약을 투여하였다. 1차 복합 예후는 심혈관계 사망, 비치명적 심근경색 또는 비치명적 뇌졸중의 첫번째 발생으로 하였다. 1차 예후에서 semaglutide는 위약과 비교해 비열등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RESULTS 기저시점에서 환자 2,735명(83.0%)은 심혈관계 질환, 만성신장질환, 또는 두 질환 모두를 동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차 예후는 semaglutide군 1,628명
α-1차단제 장기간 복용과 파킨슨병 발병위험 사이의 연관성 Association of Glycolysis-Enhancing α-1 Blockers with Risk of Developing Parkinson Disease Simmering JE, Welsh MJ, Liu L, Narayanan NS, Pottegard A JAMA Neurol. 2021;78(4):407-413. doi:10.1001/jamaneurol.2020.5157 서론 파킨슨병은 지속적으로 악화되는 신경퇴행성 질 환으로, 전세계에서 1억명 이상의 환자가 있을 것 으로 추정된다. 파킨슨병의 발병 기전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으며 여러 가지 병인이 작용할 것 으로 예상된다. 그 중 에너지 대사의 이상은 이전 부터 파킨슨병의 발생과 연관될 것으로 예상되어 이를 개선하는 약제가 파킨슨병을 예방하는데 효 과가 있을 것이라고 추측되는 추세이다. Terazosin은 포도당 분해에서 ATP를 생산하는 첫 번째 효소인 phosphoglycerate kinase 1(이하 PKG1)에 결합하여 그 활성을 증가시킨다. 이 약제는 뇌혈류장벽(blood brain barrier)을 건너 갈 수 있고, 뇌에서
당뇨로 인한 신경인성방광 환자에서 하이트린(Terazosin)과 하이네콜(Bethanechol)의 병용요법의 효과 “저활동성 방광의 치료는 현실적으로 굉장히 어렵다. 그러나 하이트린(Terazosin)과 하이네콜(Bethanechol)의 병용요법은 저활동성 방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장기간의 조절되지 않는 당뇨병으로 인하여 자가배뇨가 불가능하여 자가청결 도뇨를 하였던 여성 환자에서 하이트린(Terazosin)과 하이네콜(Bethanechol)의 병용요법은 배뇨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김태형 교수 중앙의대 중앙대병원 비뇨의학과 서론 저활동성 방광의 치료는 현실적으로 굉장히 어렵다. 그러나 하이트린(Terazosin)과 하이 네콜(Bethanechol)의 병용요법은 저활동성 방광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장기간의 조절되지 않는 당뇨로 인하여 자가배뇨가 불가능하여 자가청결도뇨를 하였던 여성 환자에서 하이트린(Terazosin)과 하이 네콜(Bethanechol)의 병용요법으로 일부 개 선을 보인 증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환자 과거력 및 증상 60세 여성 환자로 발열(38.5°C), 양측 측복통, 요폐를 주소로 비뇨의학과에 내원하
“한미약품 로수젯, 심혈관 질환 있는 ‘당뇨병 환자’ LDL-C 관리에 탁월” 란셋 등재됐던 레이싱 연구의 하위 분석 결과, 국제 학술지 ‘유럽심장저널’ 등재 연세의대 김중선 교수, 14일 열린 심혈관중재학회 심포지엄에서 연구 내용 발표 작년 7월 세계적 학술지 란셋에 등재돼 화제를 모은 한미약품의 이상지질혈증 치료제 ‘로수젯’의 또다른 연구 결과가 유명 국제학술지 ‘유럽심장저널’에 등재됐다. 심혈관 질환이 있는 당뇨병 환자의 혈중 저밀도지질단백질 콜레스테롤(LDL-C) 관리에서도 로수젯의 탁월한 효과를 확인한 연구로, 이상지질혈증 치료의 새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게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미약품은 국제학술지 유럽심장저널(European Heart Journal, IF 35.855) 최신호에 로수젯을 이용한 대규모 임상연구(레이싱 연구)를 토대로 진행된 하위 분석 결과가 게재됐다고 17일 밝혔다. 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ASCVD)이 있는 당뇨병 환자 1398명을 대상으로, 고강도 스타틴 단독 요법과 중강도 스타틴 및 에제티미브 병용요법(로수젯)의 치료 효과를 비교 분석한 연구다. 한미약품 로수젯은 이미 작년 국제학술지 란셋(The Lancet, IF
휴온스, 당뇨병 환자들에게 새로운 당뇨 관리 해법을 제시 휴온스가 지투이와 당뇨·혈당관리 솔루션을 위한 협업에 나섰다. 휴온스는 지투이(G2E)와 전략적 지분 투자 및 스마트 인슐린 펜 '디아콘 P8'(DIA:CONN P8) 국내 독점 유통 판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디아콘 P8은 다회용 스마트 인슐린 펜이다. 디아콘 당뇨관리 플랫폼과 연동해 환자의 혈당, 활성 인슐린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알려준다. 휴온스는 이번 투자로 디아콘 P8의 국내 독점판매권을 확보하고 다회 인슐린 주사요법(MDI) 중인 당뇨병 환자들에게 새로운 당뇨 관리 해법을 제시하겠다는 전략이다. 지투이 정창범 대표는 "국내 인슐린 환자들 대부분이 일회용 펜을 사용하고 환자 스스로 주입량을 결정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면서 "디아콘 P8 스마트 펜으로 과학적인 인슐린 펜 테라피가 가능하게 됐다"고 말했다. 휴온스 윤상배 대표는 "P8 스마트 인슐린 펜이 인슐린 치료를 받고 있는 당뇨병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인제대 해운대백병원·부산백병원 공동 연구, 국제 학술지 Healthcare 게재 나이가 들면 누구나 근육량이 줄어들지만 그로 인해 낙상·생활기능 저하·사망률 증가까지 이어질 정도로 심각해진 상태를 ‘근감소증’이라고 한다. 근감소증은 단순한 노화가 아니라 치료와 관리가 필요한 질환으로 주목받고 있다. 근육감소증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단백질 섭취 저하: 필수 아미노산의 섭취 부족이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운동량 부족: 신체 활동이 부족하면 근육량이 감소할 수 있다. 호르몬 불균형: 근육 세포 성장 신호와 분해 신호 간의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다. 노화: 나이가 들면서 근육 조직의 양과 질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원인들은 개인마다 다를 수 있으며, 근육 감소증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적절한 영양 섭취와 운동이 중요하다.인제대 해운대백병원 신경과 박강민 교수와 부산백병원 가정의학과 김진승 교수팀은 뇌 MRI 영상을 활용한 ‘측두근 두께(Temporal Muscle Thickness, TMT)’가 근감소증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또한, 연구팀이 개발한 근감소증 진단기기 ‘올근(Allgeun)’의 유용성도 입증
충남대·생명연 공동 연구팀, 국제 학술지 논문 게재 비타민 D가 만성 간질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담관 반응을 감소시켜 간경변증으로의 진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충남대는 수의대 권효정 교수와 의대 은혁수 교수·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영석 박사 공동 연구팀이 이런 사실을 새롭게 규명했다고 19일 밝혔다. 비타민 D는 칼슘 흡수 촉진, 뼈 형성과 유지를 돕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에는 만성 간질환 환자들의 혈중 내 비타민 D 수치가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면서 비타민 D 결핍이 간질환 발생 위험을 높인다는 것이 밝혀졌다. 하지만 그 효과와 작용 구조가 정확하게 확인되지 않았다. 공동 연구팀은 혈중 비타민 D 농도와 만성 간질환 발생 위험을 비교 분석한 결과, 혈중 비타민 D가 낮은 환자군에서 간질환 발생을 악화시키는 담관 반응이 더 증가해 만성 간질환 및 간경변증 진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밝혀냈다. 또 비타민 D가 산화스트레스를 조절하는 'TXNIP'라는 유전자를 통해 담관 반응을 억제하고 만성 간질환 및 간경변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새롭게 규명했다. 권효정 교수는 "국내 만성 간질환 및 간경변증 환자는 꾸준히 증가
20일 그랜드 워커힐에서 대한부정맥학회 '정기국제학술대회 기자간담회'에서 '한국 심방세동 팩트시트 2024'를 공개했다. 대한부정맥학회 정기국제학술대회 기자간담회에서 성정훈 진료지침이사(분당차병원 심장내과 교수, 왼쪽)와 최의근 학술이사(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가 질의응답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팩트시트는 심방세동에 대한 2013~2022년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정리한 것으로, 국내에서 처음으로 심방세동을 주제로 발간한 팩트시트다. 전체 심방세동 유병률, 2013년 1.1%→2022년 2.2%, 80세 이상 유병률, 2013년 7.4%→2022년 12.9% 국내 심방세동 유병률은 2013년 1.1%에서 2022년 2.2%로 최근 10년 동안 2배 증가했다. 60대 이상 인구에서 심방세동 유병률은 2013년 3.9%, 2022년 5.7%로 증가했고 환자 수는 2.3배 늘었다. 심방세동 환자의 평균 나이는 2022년 기준 70.3세로 점차 고령화 특히 고령 인구에서 심방세동 유병률이 큰 폭으로 증가해, 80대 이상 인구에서 2013년 7.4%, 2022년 12.9%로 조사됐다. 심방세동 환자의 평균 나이는 2022년 기준 70.3세로 점차 고령화되고 있었
2형 당뇨병 환자가 조현병 등 정신질환도 있을 경우 자살 위험이 최대 3배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이승환·의정부성모병원 내분비내과 백한상 교수팀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토대로 2009년 건강검진을 받은 2형 당뇨병 성인 환자 87만5천671명을 2021년까지 추적 관찰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 결과 2형 당뇨병 환자가 조현병을 함께 앓을 경우 자살 위험이 3.24배가 됐다. 조현병은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 과잉에 따른 뇌 질환으로, 망상과 환각, 비정상적이고 비상식적인 말과 행동 등의 사회 인지기능 저하가 대표적인 증상이다. 과거에는 정신분열병으로 불렸다. 조현(調絃)이란 사전적인 의미로 현악기의 줄을 고른다는 뜻으로, 조현병 환자의 모습이 마치 현악기가 정상적으로 조율되지 못했을 때처럼 혼란스러운 상태를 보이는 것과 같다는 데서 비롯됐다. 이외 동반하는 정신질환 종류에 따른 자살 위험은 양극성 장애 2.47배, 우울증 2.08배, 불면증 2.03배, 불안장애 1.6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자살로 사망한 2형 당뇨병 환자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남성, 저소득, 흡연자, 과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