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메뉴 회원가입
닫기

당뇨병학회는 25일 그랜드워커힐호텔에서 추계학술대회 및 국제학술대회(ICDM 2025) 기념 기자간담회

 
대한당뇨병학회는 25일 그랜드워커힐호텔에서 추계학술대회 및 국제학술대회(ICDM 2025)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노인 당뇨병 환자를 위한 적정혈당관리 권고안을 발표 했다.

65세 이상 노인 10주 3명(29.4%)은 당뇨병을 앍고 있으며, 이느 전체 당뇨병 환자의 42%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비율이다. 최근 새롭게 당뇨병으로 진단 받은 노인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노인 2형당뇨병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다. 

 노인당뇨병 적정 혈당목표에 대한 당뇨병 전문가와 개원의 사이 인식의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유병기간, 동반질환, 기대수명 등 조건이 다양한 만큼 환자별 개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는 게 주요 메시지다.
고령화로 인해 노인 2형 당뇨병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노인당뇨병 치료관리가 중요해지고 있다. 실제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3명(29.4%)은 당뇨병을 앓고 있으며, 이는 전체 당뇨병 환자의 약 42%를 차지한다.


노인당뇨병은 △혈당 변동에 취약 △근감소증 △쇠약 △복합이환질환으로 다중약제 복용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 △신체적·정신적 기능저하 △항상성 손실과 변동성 증가 △다양한 동반질환의 복잡한 상호작용 등으로 젊은 성인당뇨병과 근본적으로 다른 접근과 치료전략이 필요하다.

하지만, 미국 당뇨병학회(ADA)에서도 노인당뇨병 관리에 관한 의견을 내지 않는 등, 노인당뇨병 치료관리는 사각지대에 놓여있다.

실제 당뇨병학회가 지난 7~8월 당뇨병 전문가 77명과 개원의·봉직의 273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설문조사를 한 결과, 개원가에서는 철저한 혈당목표를 추구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전문가들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유연한 목표를 제시해 간극을 보였다.

이에 당뇨병학회는 노인당뇨병 태스크포스(TF)를 만들고, 노인당뇨병 적정 전략을 마련했다.

조동혁 노인당뇨병 TF팀장은 "같은 연령의 노인당뇨병 환자라고 해도 유병기간이 30년인 환자와 10년 된 환자의 접근법이 같을 수 없다"며 "기대여명, 건강상태, 인지기능, 일상생활자립도, 보호자 지원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개별화 또는 맞춤형 치료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에 TF팀은 노인당뇨병 치료 및 관리의 개별화를 강조한 '2025 노인당뇨병 관리를 위한 입장성명서'를 대한당뇨병학회지(Journal of Korean Diabetes)에 발표했다.
◇포괄적 접근의 필요성 대사조절 목표 생활습관 관리 약물 관리 저혈당 관리 장기요양시설 관리 생애말기 돌봄 관리 방안 등이 주요내용을 갖고 노인당뇨병 치료 및 관리의 개별화를 강조 하였다.

viewer Image

노인당뇨병 적정 대사조절목표 혈당 목표 권고안

학회 전문가77인의 의견 기반 으로 노인당뇨벼에서 대사 지표별 조절 목표를 제시
노인당뇨병 적정 혈당 목표 권고안은 건강하고 노쇠 진단(K-FRAIL, Clinical Frailty Scale) 정도가 정상인 경우 혈당 목표는 7% 미만, 중등도의 복잡한 건강 상태에서는 8%, 중증의 복합질환 상태에서는 개별적 판단에 맞춰 고혈당과 저혈당을 최소화하도록 관리할 것을 권고했다.

현재 노인세를 위한 전용 교육자료가 많지 않아 노인들은 시력 및 청력저하, 인지력과 문해력 제한으로 짧은 진료시간에 충분히 교육 받기 어려움이 많다.  이에 당뇨병학회는 "노인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큰 글씨와 그림 등으로 구성된 '노인당뇨병환자를 위한 교육자료'를 발간했다. 해당 자료는 인쇄물로 제작돼 각 지역 보건소에 배포됐으며, 당뇨병학회 홈페이지에서도 볼 수 있다". 고 말했다.





뉴스

더보기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