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메뉴 회원가입
닫기

대한심부전학회, ‘심부전 팩트시트 2025’ 발간, 심부전 유병률 3.41%

‘팩트시트 2025’에 따르면 심부전 환자에서 당뇨병, 고혈압, 허혈성 심질환, 심방세동, 만성신장질환 등의 동반질환 비율이 증가

대한심부전학회, ‘심부전 팩트시트 2025’ 발간


이찬주 심부전학회 팩트시트 위원장이 '심부전 팩트시트 2025'를 소개하고 있다


우리나라 심부전 유병률은 2002년 0.77%에서 2023년 3.41%로 늘었다. 2023년 기준 환자 수(남성 87만 3862명, 여성 87만 6366명)는 총 175만228명이다.


심부전 발생률은 2003년 인구 10만 명당 481명에서 2023년 753명으로 1.56배 증가했다. 심부전으로 인한 사망률은 2002년 인구 10만 명당 3.1명에서 2023년 19.6명으로 약 6.3배 늘었는데 이는 심부전이 단순한 만성질환을 넘어 국가적 차원의 관리와 대응이 필요한 심각한 보건 문제로 인식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대한심부전학회 이찬주 학회 팩트시트 위원장은 12일 국내 심부전 환자의 역학 및 치료 현황을 종합한 ‘심부전 팩트시트 2025’를 소개했다.


이번 팩트시트는 2021년 첫 발간 이후 세 번째로 우리나라 심부전 관리 및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팩트시트 2025’에 따르면 심부전 환자에서 당뇨병, 고혈압, 허혈성 심질환, 심방세동, 만성신장질환 등의 동반질환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입원률 또한 꾸준히 늘고 있다. 치료 성적이 점진적으로 개선되면서 환자의 생존률은 다소 향상됐으나, 여전히 5년 생존률 79%, 10년 생존률 66%에 불과하다.


대한심부전학회는 “우리 사회가 초고령화로 접어들면서 심부전 환자는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이라며, “치료 성적 향상에도 불구하고 심부전은 여전히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질환으로, 국가적 차원의 충분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2024년 연말에 시작된 상급종합병원 구조 전환 지원사업에서는 입원 환자 중 중증질환자의 비율을 70% 이상으로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일반질환군·전문질환군 분류는 질병 자체의 중증도에 기반하지 않고, 단순히 청구건수가 일반의원에서 많으면 일반질환군, 상급병원에서 많으면 전문질환군으로 분류되는 구조적 한계를 가진다. 그 결과, 당뇨병은 일반(경증) 질환으로 분류되는 반면 이보다 임상적으로 덜 중증인 대사증후군은 전문질환군으로 분류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발생한다.



대한심부전학회는 12일 기자간담회에서 "심부전을 전문질환군으로 지정해 줄 것"을 주장했다.

심장혈관 질환 분야에서 이러한 불합리한 분류로 인해 가장 큰 문제를 겪는 대표적 질환이 바로 심부전증이다. 심부전은 정의 자체가 모든 심장질환의 마지막 합병증으로, 심장질환 중 사망률이 가장 높다. 우리나라 심부전 입원 환자의 병원 내 사망률은 약 6%에 달하며, 특히 80세 이상 노인의 경우 80세 미만 환자에 비해 사망 위험이 약 2배 높다. 이를 환산하면, 심부전 환자가 입원한 뒤 퇴원하지 못하고 사망할 확률은 15% 이상으로 매우 위중하다.


더 큰 문제는 치료의 전문성이다. 심부전의 약제 치료는 다약제 병용, 환자 특성별 맞춤 전략, 신기능 및 혈압 관리 등 고도의 전문성을 요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많은 상급병원에서조차 권고된 표준 치료 이행률은 50% 내외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치료 공백은 환자와 가족이 심부전의 중대성을 인식하면서도 지역 일차기관에서 상급의료기관으로 의료기관을 전전하게 만들고, 결과적으로 치료의 연속성이 유지되지 않는 악순환으로 이어진다.


실제 임상연구에서는 중증 심부전 환자의 2년 사망률이 10% 미만으로까지 개선된 반면, 우리나라 현실은 여전히 심각하다. 최근 통계에 따르면 국내 심부전 환자의 6개월 내 사망·재입원률이 36%에 달하여, 국제적 치료 성과와 뚜렷한 격차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괴리는 심부전 환자 관리에 있어 전문진료 체계가 확립되지 못한 구조적 문제와도 깊이 연관된다.


이에 전체 심장혈관 질환의 치료 향상을 위해서는 심부전의 전문질환 지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임상적 위중성, 치료 전문성의 요구, 낮은 표준 치료 이행률, 높은 사망·재입원률 등을 고려할 때, 심부전의 전문질환군 지정은 단순한 행정적 조정이 아니라 국민 건강과 환자 생존율 향상을 위한 필수적 정책 과제라는 것이 학회측의 입장이다.


출처 : 재활뉴스(https://www.rehabnews.net)




뉴스

더보기

칼럼